건강칼럼

H > 본원소개 > 건강칼럼

제목

“심장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요”…‘심잡음’이 들리는 이유는?

영유아기 아이가 예방접종을 하러 가거나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 병원을 가면, 의사가 청진기를 사용해 아이의 심장 소리를 듣게 된다. 이때 아이의 심장 소리를 들은 의사가 ‘심잡음’이 들린다는 진단을 내리는 경우가 간혹 있다. 혹시 아이의 심장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는 아닐까? 심잡음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자세히 짚어 보자.심장에서 쿵쿵 소리 외에 다른 소리가 나는 것을 심잡음이라고 한다|출처: 클립아트코리아심장에서 나는 이상한 소리, 원인에 따라 구분 가능심잡음은 심장이 신체 각 부분과 폐로 혈액을 짜낼 때와 혈액이 심장에 채워지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혈액이 심장의 판막이나 심장 내부의 구조물들을 지나면서 ‘쉭쉭’거리는 특유의 소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일반적인 심장 박동 소리와는 차이가 나며, 정상적인 심장 박동 소리에 비해서 느리게 반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심잡음은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기능적 심잡음’과 ‘병적 심잡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해성 심잡음’이라고도 하는 기능적 심잡음은 심장에 특별한 구조적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리가 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영유아기에 흔히 발견되는 편인데, 이는 성숙하지 않은 심장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심장 소리 외에 다른 소리가 불규칙적으로 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병적 심잡음’의 경우 심장 결손, 판막질환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심잡음을 말한다. 병적 심잡음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에는 △심실중격결손 △폐동맥판막 협착증 △대동맥판막 협착증 등이 있으며, 질환에 따라서는 즉시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들 질환은 사람에 따라 선천적인 심장 문제로 인해 발병해 어린 나이에 발견하는 경우도 있고, △심혈관질환 △만성질환 △고령 등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연령에 관계없이 심잡음이 관찰되는 편이다. 특히 선천적인 심장 이상의 경우 출생 이후 영유아기 건강 검진 중 청진을 통해 발견하는 경우가 많은데, 심잡음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성인기까지도 발병 여부를 모르다 뒤늦게 흉통 등의 동반 증상을 겪으면서 질환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만큼 만약 아이가 특별한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숨이 금세 가빠지는 모습을 보이거나 유독 활동량이 적은 경우, 성장과 발육이 더딘 경우라면 심장 문제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심장질환의 발견이 늦어질수록 심장에 지속적으로 무리가 가면서 심부전, 폐동맥 고혈압 등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릴 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심잡음 크다고 심각한 질환은 아냐…원인 질환 찾았다면 치료해야심잡음이 심장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증상 중 하나이기는 하지만, 심잡음이 유독 크게 들린다고 해서 심각한 질환인 것은 아니다. 기능적 심잡음인 경우에는 심장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기도 하고, 병적 심잡음이라고 해도 심장뿐만 아니라 혈관, 폐 등 여러 기관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소리가 발생하는 만큼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청진기를 활용해 심장소리를 듣는 것 외에도 △심전도검사 △심초음파검사 △심도자검사 △혈액검사 △흉부 방사선검사 등을 시행해 심장과 주위 기관의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심잡음을 유발하는 질환이 있다면 무엇인지, 어느 정도로 심각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기능적 심잡음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특별한 원인 질환이 없는 데다, 심장이 완전히 성장을 멈추면 심잡음도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병적 심잡음의 경우에는 원인 질환에 따른 치료가 시행돼야 한다. 심장의 판막이 손상된 경우에는 인공 판막을 삽입하는 ‘판막 치환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심내막염 등 염증 질환인 경우라면 항생제 복용을 통해 치료하기도 한다. 심잡음을 유발하는 질환에 대한 치료가 끝나면 심잡음은 대부분 사라진다. 다만 선천적인 복잡 기형이나 판막협착증 등을 앓았던 경우에는 치료를 성공적으로 했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심잡음이 들릴 수 있다. 심초음파검사 등을 통해서 수술 경과를 확인해 보고 이상이 없다면 재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심잡음 자체는 일상생활에도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만큼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