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H > 본원소개 > 건강칼럼

제목

스트레스 받을 땐 기름진 음식?...바로 악순환의 시작

미국 콜로라도볼더대 연구팀, 쥐 대상 실험고지방 식단, 신체 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악영향고지방 식단으로 망가진 장내 미생물 구성이 세로토닌 조절에 악영향 미쳐스트레스를 받을 때 햄버거나 감자튀김 같이 기름진 음식을 찾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최근 고지방 식단이 장내 미생물 구성에 지장을 주어 불안감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 결과(high-fat diet, microbiome-gut-brain axis signaling, and anxiety-like behavior in male rats, 고지방 식단, 장-뇌 축 신호, 그리고 수컷 쥐의 불안 유사 행동)는 국제학술지 ‘bmc 생물학 연구(bmc biological research)’에 게재됐다.

고지방 식단이 장내 미생물 구성에 지장을 주어 불안감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ㅣ출처: 미드저니비만과 불안은 현대 사회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로, 고지방 식단 섭취와 관련이 있다. 미국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연구팀은 장-뇌 축 신호 체계와 뇌의 세로토닌 시스템이 고지방 식단과 불안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9주간 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12마리)은 지방 함량이 하루 섭취 열량의 11%를 차지하는 대조군 식사, 다른 그룹(12마리)은 지방 함량이 하루 섭취 열량의 45%를 차지하는 고지방 식사를 하도록 했다. 연구진은 매주 대변 검사를 통해 장내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고, 뇌간의 세로토닌 유전자 발현 검사와 불안 관련 행동 검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고지방 식단을 섭취한 그룹은 체중과 체지방이 더 많이 증가한 것은 물론,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고지방 식단 그룹에서는 세로토닌 생성과 신호 전달과 관련된 유전자인 tph2, htr1a, slc6a4 등의 발현이 각각 46%, 35%, 42% 증가한 것으로 관찰됐다. 세로토닌은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몇몇 세로토닌은 일시적으로 불안 행동 반응을 일으킨다. 연구진은 “고지방 식단이 장내 미생물의 조성을 변화시킨다”라며, “세로토닌의 약 95%가 위장관에서 발견되고, 세로토닌이 일차적으로 장에서 생산되는 만큼, 장내 미생물이 세로토닌 수치에 영향을 주고 전반적인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고지방 식단이 뇌와 장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며, 더 나아가 비만과 불안 행동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